1.산행지 : 연인산(1,068m) [경기/가평]
2.산행일 : 2014. 3. 25(화) 04:50 출발
3.산행코스 : 국수당 - 우정고개 - 연인산 - 장수봉 - 장수고개 - 백둔리보건소
4.산행지 소개
연인산(1,068m)은 기름진 토양으로 인해 오래 전부터 화전민이 살고 있었지만 본격적으로 정착이 이루어진 것은 한국전쟁 중 1·4후퇴 때이다. 이후 토착 화전민, 피난 화전민, 그리고 벌목공 노동자 중 정착한 화전민 등 1960년대에는 연인산이 깊은 숲 속에 300여호의 화전민이 살았었다. 지금 연인산 아랫마을 북면 백둔리에 110여 호의 주민 살고 있는 것에 비하여 그 수가 얼마나 많은 것인가를 미루어 알 수 있다. 연인산 속 화전민들의 삶은 이른바 녹화사업에 의해 1972년에 막을 내렸다. 한 가구당 40만원씩의 이주비를 받고 강제 이주를 당했는데, 그들은 일부는 가평으로, 또 서울, 포천, 의정부 등 인근도시로 흩어지고, 화전을 했던 자리에는 모두 잣나무와 낙엽송이 심어졌다. 연인산 곳곳에 아름드리 푸른 잣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는 곳은 대부분 옛 화전터였다. 지금도 용추구곡이나 연인능선, 우정능선 등 등산로를 따라가다 보면 옛 집터의 흔적을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 연인산은 하루 등산코스로 적격인 산이지만, 넓고 깊은 산세를 다 알기 위해서는 하루 해로는 부족하다. 연인산은 북으로는 명지산과 명지2봉에 맞닿아 있고, 남으로는 우정봉, 매봉에서 또다시 깃대봉, 청우산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동으로는 노적봉, 수덕산이 있으며, 서쪽으로는 약간 떨어진 곳에 운악산이 버티고 선 산맥의 중앙에 있는 산이다. 연인산으로 오르는 등산로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길이 북면 백둔리에서 오르는 길, 하면 마일리에서 오르는 길, 그리고 가평읍 승안리에서 시작하는 12km의 용추계곡을 따라 올라가는 길이 있는데, 앞의 두 코스는 5시간 남짓이면 산행을 마칠 수 있으나 용추계곡 방향은 정상까지 길고도 험하기 때문에 정말 산을 즐기는 사람들이 택해야 후회하지 않는다. 왕복 8시간 정도 걸리는 거리이기 때문입니다. 이 연인산에서 매년 5월이 되면 축제가 열린다. 1999년 처음 ‘연인산철쭉제’로 시작하여 ‘연인산들꽃축제’로 열리는 이 축제는 연인산만이 가지고 있는 매우 뛰어난 경치와 수많은 들꽃, 그리고 철쭉을 감상하면서 백둔리 산촌마을에서 펼쳐지는 여러 가지 공연과 전시 및 체험행사를 즐길 수 있다.
5. 산행지도
6.산행스케치
산행초입에 잔뜩 핀 꿩의바람꽃
제비꽃도 피었네!
괭이눈도 피었다.
현호색은 흔하다.
우정고개에 도착하였다.
화전민을 내보내고 조림을 하였다고 하더니 곧게 자란 잣나무숲이 나타났다.
우정봉을 지나 조금 오르니 헬기장이 나타났다. 시간이 점심때라 식사를 하고 올라가기로 했다
.
우와!! 복수초가 북쪽사면을 덮었다. 눈이 즐겁다. 산행중 힘드는 것을 잊게하는 엔돌핀이다.
헬기장에 도착하였다. 정상이 눈앞에 나타났다.
보이는 소로가 명지산으로 가는길이다.
올라왔던 길
건너편 능선꼭대기가 조금전 지나온 헬기장
백둔리로 내려가야하는 길
백둔리 3.9Km 이정표 여기서 헛갈렸다.
여기서 잠시 헛갈려서 용추계곡쪽으로 알바, 족히 500M는 내려갔다 다시 올라왔다.
장수능선에서 백둔리로 빠지는 전환점
기묘한 형상의 고목이 눈길을 끈다.
임도에 다달았다. 다 내려온 셈이다.
버들강아지
눈녹은 물이라 발이 시리다.30초도 못견딜것 같다.
개울을 건너는 다리를 공사중이다.
산괴불주머니가 아직은 활짝 피지를 않았다.
튼실한 놈들이 노닐고 있다.
주택의 정원수로 심은 회양목이 꽃을 활짝 피웠다.
폐교 백둔초교의 반공소년 이승복 동상,옛날 학교 교정엔 거의가 다 있었다.
저녁먹은 춘천닭갈비 아니 강촌닭갈비와 춘천막국수 생각보다 못했다.
지난번 삼악산 왔을때 춘천시내에서 먹은 막국수를 생각하고 먹었는데 기술이 부족하다. 나만의 생각인가??
'산행 > 등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4.5.28 [한무리산악회 제440차 정기산행] (0) | 2014.05.29 |
---|---|
2014. 3. 25[고창 선운산 한무리산악회 제438차 정기산행] (0) | 2014.04.09 |
제주도 한라산 (0) | 2014.02.04 |
2013.11.27. 한무리산악회 제431차 정기산행 (0) | 2013.12.28 |
도덕산 옥산지 원점회귀 (0) | 2013.1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