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6월441 댕댕이덩굴 2024.6.19.충남 홍성 2024.10.15충남 홍성 2024.11.17.충남 홍성잎은 청미래덩굴열매만 댕댕이덩굴! 댕댕이덩굴요약:쌍떡잎식물 이판화군 미나리아재비목 낙엽활엽 덩굴식물. 학명:Cocculus trilobus 계:식물 문:속씨식물 강:쌍떡잎식물 목:기타 쌍떡잎식물 원산지:한국, 중국, 일본 분포지역:동북아시아 서식장소/자생지:들판이나 숲가 크기:줄기 3m 정도, 잎 길이 3∼12cm, 나비 2∼10cm, 열매 지름 5∼8mm 댕강넝쿨이라고도 한다. 들판이나 숲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3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지기도 한다. 줄기와 잎에 털이 있다. 잎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길이 3∼12cm, 나비 2∼10cm로서 3∼5맥이 뚜렷하다. 꽃은 양성화로.. 2024. 12. 3. 갯메꽃 2024.6.6.충남 홍성갯메꽃요약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메꽃과의 여러해살이풀.학명:Calystegia soldanella계:식물문:속씨식물강:쌍떡잎식물목:통화식물목과:메꽃과분포지역:한국(제주·전남·전북·경남·경북·강원·경기·황해·함남)서식장소/자생지:바닷가의 모래밭크기:잎 길이 2∼3cm, 나비 3∼5cm, 잎자루 길이 2∼5cm 개메꽃·산엽타완화라고도 한다. 바닷가의 모래밭에서 자란다. 굵은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으며, 줄기는 갈라져 땅 위로 뻗거나 다른 물체를 감고 올라간다.잎은 어긋나고 잎자루는 길며 신장 모양으로 윤이 난다. 잎 길이는 2∼3cm, 나비는 3∼5cm이며, 잎자루 길이는 2∼5cm이다. 잎 끝은 오목하거나 둥글며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요철이 있는 것도 있다.꽃은 5월에 연.. 2024. 9. 16. 망종화 2021.6.16. 경북 포항 망종화 요약 : 쌍떡잎식물 측막태좌목 물레나물과의 소관목 학명:Hypericum patulum Thunberg 계:식물 문:속씨식물 강:쌍떡잎식물 원산지:중국 중부지역 크기:높이 1m 중국 원산의 낙엽 소관목(小灌木)이며, ‘금사매’라고도 불린다. 줄기는 길이 1m 정도로 자라는데, 무리지어 자라서 덩굴처럼 보인다. 줄기 밑동에서부터 여러 개의 가지가 나와 뻗는데, 가지는 약간 붉거나 갈색이다.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3~5㎝, 폭 2~3㎝이다. 잎의 끝은 둥글고 가장자리가 매끈하다. 꽃은 6~7월에 황색으로 피는데, 1송이 또는 3~4송이가 줄기 끝에 붙는다. 꽃의 지름은 4~5㎝ 정도이며 컵 모양이다. 꽃잎과 꽃받침은 각각 5장이며, 암술대는 4갈래로 갈라진.. 2021. 6. 17. 자귀나무 2021.6.17. 경북 포항 자귀나무[ silk tree ] 요약: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낙엽소교목. 학명: Albizzia julibrissin 계:식물 문:속씨식물 강:쌍떡잎식물 목:장미목 분포지역:한국(황해도 이남)·일본·이란·남아시아 서식장소/자생지:산, 들 크기:높이 3∼5m 자귀나무는 부부의 금실을 상징하는 나무로 합환수(合歡樹)·합혼수·야합수·유정수라고도 한다. 이런 연유로 산과 들에서 자라는 나무를 마당에 정원수로 많이 심었다. 자귀대의 손잡이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나무였기 때문에 자귀나무라고 하며 소가 잘 먹는다고 소쌀나무라고 부르는 곳도 있다. 나무의 줄기는 굽거나 약간 드러눕는다. 높이 3∼5m이고 큰 가지가 드문드문 퍼지며 작은 가지에는 능선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2회깃꼴겹잎이다.. 2021. 6. 17. 매화노루발 2021.6.1. 경북 포항 매화노루발[ 梅花─ ] 요약:쌍떡잎식물 진달래목 노루발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학명 Chimaphila japonica 계:식물 문:속씨식물 강:쌍떡잎식물 목:진달래목 분포지역:한국·일본·타이완·중국·사할린섬 서식장소/자생지:바닷가의 숲속 크기:높이 5∼10cm 매화노루발풀이라고도 한다. 바닷가의 숲속에서 자란다. 높이 5∼10cm이다. 나무 같은 느낌이 들고 원줄기는 보통 1개씩 자란다. 새순 끝에 2∼3개의 잎이 모여 달리며 밑에 약간의 비늘조각이 달린다. 해마다 이와 같이 계속되므로 잎이 층으로 달린 것같이 보인다. 잎은 두꺼운 혁질(革質:가죽 같은 질감)이며 넓은 바소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낮으나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꽃은 6∼7월 산형꽃차례로 원줄기 끝에 l∼2개씩 .. 2021. 6. 1. 조록싸리 2021.6.1. 경북 포항 조록싸리[ 朝鮮木萩 ] 요약: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관목. 학명:Lespedeza maximowiczii 계:식물 문:속씨식물 강:쌍떡잎식물 목:장미목 분포지역:한국 진도 서식장소/자생지:산야 크기:높이 2∼3m 산야에서 자란다. 높이 2∼3m이며 목재는 연한 녹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세 장의 작은잎이 나온 잎이며 작은잎은 달걀 모양의 타원형으로 뒷면에 긴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6월에 홍자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밀원식물이다. 꽃받침은 중간 정도로 갈라지고 갈래조각 끝이 바늘같이 뾰족하다. 꽃잎에서는 기판이 자적색, 익판이 홍자색, 용골판이 연한 홍색이다. 열매는 협과로 9∼10월에 익고 넓은 바소꼴이며 길이 10∼15 mm로서 끝이 뾰.. 2021. 6. 1. 이전 1 2 3 4 ··· 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