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11월37

파인애플세이지 2020.11.8. 경기도 수원 2020. 11. 17.
어저귀 2020.11.15. 경북 포항 어저귀[ China jute ] 요약:쌍떡잎식물 아욱목 아욱과의 한해살이풀. 학명:Abutilon theophrasti 계:식물 문:속씨식물 강:쌍떡잎식물 목:아욱목 원산지:인도 서식장소/자생지:들 크기:높이 약 1.5m 인도산이고, 섬유식물로 한때 많이 재배하였으며 들로 퍼져 나간 것도 있다. 귀화식물이며 높이 1.5m 정도이며 전체가 털로 덮인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심원형으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황색이며 잎겨드랑이에 모여 달린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5개씩이고 밑부분이 합쳐지며 수술은 합쳐져서 통처럼 되고 암술은 10여 개의 방으로 갈라진 씨방이 있다. 열매는 삭과이며 9월에 결실하며 심피가 돌려난 모양으로 배열하고 흑색으로.. 2020. 11. 16.
진달래 2018.11.26 경북 포항 분홍의 꽃과 빨간 잎의 색깔이 조화롭다. 이른봄으로 착각한 것일까? 진달래 [korean rosebay] 요약:쌍떡잎식물 진달래목 진달래과의 낙엽관목. 계:식물 문:속씨식물 강:쌍떡잎식물 목:진달래목 분포지역:한국 ·일본 ·중국 ·몽골 ·우수리 등지 서식장소/자생지:산지의 볕이 잘 드는 곳 크기:높이 2∼3m 참꽃 또는 두견화라고도 한다. 전국의 50~2,000m 높이의 산야에서 무리지어 자란다. 높이는 2∼3m이고 줄기 윗부분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지며, 작은가지는 연한 갈색이고 비늘조각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 모양의 바소꼴 또는 거꾸로 세운 바소꼴이며 길이가 4∼7cm이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표면에는 비늘 조각이 약간 있고, 뒷면에는 비늘 조각.. 2018. 11. 26.
노박덩굴 2018.11.26 경북 경주 무장산 노박덩굴 요약:쌍떡잎식물 노박덩굴목 노박덩굴과의 낙엽활엽 덩굴나무. 학명:Celastrus orbiculatus 계:식물 문:속씨식물 강:쌍떡잎식물 목:노박덩굴목 분포지역:한국·중국·일본·쿠릴열도 등지 서식장소/자생지:산과 들의 숲속 크기:길이 약 10m 노박따위나무·노방패너울·노랑꽃나무라고도 한다. 산과 들의 숲속에서 자란다. 길이 약 10m이다. 가지는 갈색 또는 잿빛을 띤 갈색이다. 잎은 타원형이거나 둥근 모양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부분은 둥글고 톱니가 있다. 턱잎은 갈고리 모양이고 잎자루는 길이 1∼2.5cm이다.꽃은 2가화(二家花) 또는 잡성화(雜性花)이며 5∼6월에 핀다. 빛깔은 노란빛을 띤 녹색이며 취산꽃차례[聚傘花序]로 잎겨드랑이에서 나와 1∼10송이씩 .. 2018. 11. 26.
맨드라미 2018.11.10 대전광역시 장태산 맨드라미[ cockscomb ] 요약:쌍떡잎식물 중심자목 비름과의 한해살이풀. 꽃은 7∼8월에 피고 편평한 꽃줄기에 잔꽃이 밀생하며, 꽃색은 홍색·황색·백색 등이다. 학명:Celosia cristata 계:식물 문:속씨식물 강:쌍떡잎식물 목:중심자목 원산지:인도 서식장소/자생지:열대 크기:높이 90cm 정도 계관(鷄冠)·계두(鷄頭)라고도 한다. 열대 인도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90cm 정도 자란다. 흔히 붉은빛이 돌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모양 또는 달걀모양의 바소꼴이며 잎자루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편평한 꽃줄기에 잔꽃이 밀생하며, 꽃색은 홍색·황색·백색 등이다. 화피조각은 5개로 바소꼴이다. 편평한 꽃줄기의 윗부분이 보다.. 2018. 11. 14.
개쑥갓 2018.11.14 경북 청송 개쑥갓 요약: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학명:Senecio vulgaris 계:식물 문:속씨식물 강:쌍떡잎식물 목:초롱꽃목 원산지:유럽 분포지역:한국(전지역) 서식장소/자생지:산과 들 크기:높이 10∼40cm 들쑥갓이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 2018. 1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