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야생화

큰애기나리

by 어링불 2021. 4. 30.

2021.4.28.

경북 포항

큰애기나리

학명:Disporum viridescens (Maxim.) Nakai

 

생물학적 분류

문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 : 단자엽식물강(Monocotyledoneae)

목 : 백합목(Liliiflorae)

과 : 백합과(Liliaceae)

속 : 애기나리속(Disporum)

개화기:5월~6월

꽃색:녹색

형태:여러해살이풀

크기:높이 30~70cm

분포:전국 각지의 산지에 분포

 

특징

애기나리와 비슷하지만 가지가 보다 많이 갈라지고 꽃잎에 녹색이 돌며 꽃밥은 수술대와 길이가 비슷하고 씨방은 둥글며 암술대와 길이가 거의 비슷한 것이 다르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긴 타원형이며 급한 점첨두이고 길이 6-12cm, 폭 2-5cm로서 3-5맥이 발달하며 가장자리와 뒷면 맥위에 반달형 또는 작은 돌기가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가지끝에 1-3개가 밑을 향해 달리며 연한 녹색이고 꽃잎은 6개로서 길이 15-18mm이다. 6개의 수술은 꽃잎 밑에 달리며 수술대는 길이 4-6mm이고 꽃밥은 길이 3-4mm이다. 씨방은 둥글며 암술대는 길이 4mm로서 씨방과 길이가 같다.

 

열매

열매는 장과로 둥글며 흑색으로 익는다.

 

줄기

높이 30-70cm이고 윗부분이 갈라지며 밑부분이 엽초같은 잎으로 둘러싸인다.

 

뿌리

근경이 옆으로 뻗는다.

 

생육환경

숲 속에 부엽이 두껍게 쌓이고 반그늘진 낙엽수림 하부에서 자란다.

 

번식방법

• 지하로 근경이 매우 왕성하게 뻗으므로 가을철에 적당히 잘라서 심으면 번식이 잘 된다.

• 분주도 매우 잘 된다.

 

재배특성

토양은 사질양토가 적합하며 비옥한 곳이 좋다. 반그늘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 적당한 시비관리는 식물체의 생육을 좋게 한다. 성질이 강건하므로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지 않은 식물이다.

 

이용방안

• 넓은 면적에 군식하여도 좋으며 화단식재용 소재로도 좋다. 낙엽성 교목의 하부식재용으로도 이용할 만하다.

 

•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 根莖(근경) 및 根(근)을 石竹根(석죽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 여름에서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 약효: 潤肺(윤폐), 止咳(지해), 健脾(건비), 消積(소적)의 효능이 있다. 虛損咳喘(허손해천), 痰中帶血(담중대혈), 腸風下血(장풍하혈), 食積腸滿(식적장만), 폐결핵, 폐기종, 장염, 大腸出血(대장출혈), 치질을 치료한다.

③ 용법/용량: 15-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른다.

 

보호방안

번식력이 왕성하므로 경제작물로 적극 이용하며 자생지외 보존을 실시한다.

 

유사종

• 애기나리는 높이가 15-40cm로 큰애기나리보다 작고 꽃이 1-2개 달린다.

• 금강애기나리는 환경부에서 한국특산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출처: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http://www.nature.go.kr

'야생화 >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꼬리말발도리  (0) 2021.05.16
금낭화  (0) 2021.05.16
반디지치  (0) 2021.04.29
꿩의바람꽃  (0) 2021.03.15
노루귀  (0) 2021.03.0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