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3.9
여수 금오도
금잔화
학명:Calendula arvensis L.
생물학적 분류
문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 :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목 : 초롱꽃목(Campanulales)
과 : 국화과(Compositae)
속 : 금잔화속(Calendula)
개화기:7월~8월
꽃색:노란색, 붉은색
형태:두해살이풀
크기:[야생상] 높이 10~20cm, [재배종] 높이 30cm
분포
관상용으로 재배
특징
머리모양꽃차례의 모양이 술잔같기 때문에 금잔화(金盞花)라고 한다.
잎
잎은 어긋나기하고 긴 타원형으로서 부드러우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꽃은 7~8월에 피고 붉은빛이 도는 황색으로서 원줄기와 가지 끝에 머리모양꽃차례가 1개씩 달리며 가장자리의 것은 혀꽃이고 안쪽 것은 통상화로서 지름 1.5~2cm이다.
열매
수과는 굽으며 겉에 가시 모양의 돌기가 있다.
줄기
야생상의 것은 높이 10~20cm이고 재배하고 있는 것은 높이가 30cm에 달하며 가지가 갈라진다.
이용방안
• 관상용으로도 이용된다.
• 금잔화의 全草 및 花는 金盞草(금잔초), 根은 金盞草根(금잔초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1) 金盞草(금잔초)
① 여름에 채취한다.
② 성분: 꽃에는 精油(정유), 苦味質(고미질), 樹脂(수지), 식물고무질이 함유되어 있다.
③ 약효: 利尿(이뇨), 發汗(발한), 興奮(흥분), 緩下(완하), 通經(통경)의 효능이 있다. 腸·痔出血(장·치출혈)이 멈추지 않는 것을 치료하며 血壓(혈압)을 降下(강하)시킨다.
④ 용법/용량: 2~5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생즙을 바른다.
(2) 金盞草根(금잔초근) - 疝氣(산기)를 치료한다.
출처: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