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9월

좀담배풀

by 어링불 2017. 9. 23.

2017.9.9

충북 단양




좀담배풀

학명:Carpesium cernuum L.

생물학적 분류

계 : 식물계

문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 :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목 : 초롱꽃목(Campanulales)

과 : 국화과(Compositae)

속 : 담배풀속(Carpesium)

개화기:8월~9월

꽃색:녹색

형태:두해살이풀

크기:높이 50~100cm

분포:전국 각지에 분포


특징


근생엽은 개화시기에 없어진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밑부분의 것은 주걱 모양의 긴 타원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길이 9-25cm, 나비 4-6c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으로 흘러 날개로 되고 양면에 백색 털이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겹톱니 또는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약간 작고 긴 타원형이며 둔두이거나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서 양끝이 좁거나 둔하다.


꽃은 8-9월에 피고 연한 녹색이며 지름 15-18mm로서 모두 관상화이고 줄기 끝과 원줄기 끝에 밑을 향한 머리모양꽃차례로 달리며 화경이 길고 포는 많으며 길이 2-5cm로서 선상 피침형이다. 총포는 각두형(殼斗形)이고 길이 7-8mm로서 바깥 것은 잎같으며 나비가 넓고 백색 털이 있으며 안쪽 것은 좁고 긴 타원형이며 둔두이다.


열매

수과는 선형이고 길이 4.5-5mm, 나비 1mm 정도이지만 끝부분의 것은 길이 1mm 정도며 점성의 부리가 있다.


줄기

높이 50-100cm이고 밑부분에 백색 털이 밀생하며 가지가 사방으로 퍼진다.


생육환경

산야에서 자란다.


이용방안

• 어린순을 식용으로 사용하다.

• 全草는 (알이초), 根은 (알이초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1) (알이초)

① 여름에 최초의 꽃이 피면 전초를 뽁아 老莖과 根을 제거해서 잘게 썰어 햇볕에 말린다.

② 약효: 淸熱(청열), 해독,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咽喉腫痛(인후종통), 편도선염, 流行性耳下腺炎(유행성이하선염), 急性齒痛(급성치통), 癰腫瘡毒(옹종창독)을 치료한다.

③ 용법/용량: 3-10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또는 짓찧어 낸 생즙을 복용한다. <외용> 달인 液(액)으로 환부를 씻던가 짓찧어 낸 즙을 바른다.


(2) (알이초근)

① 약효: 赤痢(적리), 齒痛(치통), 편도선염, 子宮下脫(자궁하탈), 脫肛(탈항) 등을 치료한다.

② 용법/용량: 6-12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른다.


출처: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야생화 > 9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좀작살나무  (0) 2017.09.23
긴담배풀  (0) 2017.09.23
두메담배풀  (0) 2017.09.23
조밥나물  (0) 2017.09.23
정영엉겅퀴  (0) 2017.09.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