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방울벌레
2022.8.23.
충남 홍성
좀방울벌레
요약:메뚜기목[直翅目] 귀뚜라미과의 곤충.
학명:Polionemobius mikado
계:동물
문:절지동물
강:곤충류
목:메뚜기목
과:귀뚜라미과
멸종위기등급:미평가(NE : Not Evaluated, 출처 : IUCN)
크기:6.5∼8mm
몸의 빛깔:연한 갈색
생식:1년에 2회
서식장소:잔디밭이나 건조한 초지
분포지역:한국·일본·타이완
몸길이 6.5∼8mm이다. 몸빛깔은 연한 갈색이다. 머리는 가로형이며 뒷머리는 솟아올라 있고 정수리는 경사졌다. 이마는 좁고 검은색 센털이 드문드문 있다. 앞가슴은 뒤쪽이 넓은데, 앞가두리는 머리보다 좁고 직선으로 되어 있으며, 뒷가두리는 약간 뒤쪽으로 구부러졌다. 앞가슴 표면은 약간 둥그렇고 검은색 센털이 드문드문 있다. 옆조각은 아랫가두리가 직선이고 수평 표면은 검은색인데 때로는 아랫가두리가 연한 색이고 검은색 센털이 뚜렷하다.
앞날개는 꼬리 끝에 달하지 못하고 암컷은 더욱 짧으며 뒤끝은 칼로 자른 것처럼 보인다. 날개 등면은 연한 색인데 몇 개의 흑갈색 무늬가 있고 옆면은 제1세로맥까지는 흑갈색이며 그 밖의 부분은 연한 색이다. 뒷날개는 보통 발달하지 않으나 때로는 암수 모두가 꼬리 모양으로 되어 뒤쪽으로 이어진다. 다리는 황갈색인데 종아리마디는 가시 밑쪽에 흑갈색 점이 있고 뒷다리 넓적다리마디에는 평행하는 갈색 띠가 비스듬하게 있는 것이 보통이다.
잔디밭이나 건조한 초지에 서식한다. 1년에 2회 발생해 6∼7월, 9∼11월에 성충을 볼 수 있다. 암컷의 산란관은 직선 모양으로 가늘고 길며 그 끝은 길게 뾰족하며, 뒷다리 넓적다리마디보다 짧다. 암컷은 산란관을 땅속에 꽂고 수백개의 알을 낳는다. 부화한 유충은 7번 탈피해 성충이 되고 성충이 된지 5∼10일이 지나면 수컷은 울음소리로 암컷을 유인한다. 한국·일본·타이완에 분포한다.
참조항목:귀뚜라미과, 메뚜기
역참조항목:여울알락방울벌레
카테고리
동물 > 절지동물 > 곤충강 > 메뚜기목
출처: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