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5월

둥굴레

어링불 2018. 5. 18. 20:43

2018.5.14

경북 경주

 

 

 

 

 

둥굴레
요약 :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계:식물
문:속씨식물
강:외떡잎식물
목:백합목
분포지역:한국·일본·중국
서식장소/자생지:산과 들
크기:높이 30∼60cm


이명으로 맥도둥굴레, 애기둥굴레, 좀둥굴레, 제주둥굴레 등이 있으며 약재명은 옥죽이다. 산과 들에서 자란다. 굵은 육질의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고 줄기는 6개의 능각(稜角)이 있으며 끝이 비스듬히 처진다. 높이는 30∼6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한쪽으로 치우쳐서 퍼진다. 길이 5∼10cm, 나비 2∼5cm로 긴 타원형이고 잎자루가 없다.

6∼7월에 길이 15∼20mm의 녹색빛을 띤 흰색 꽃이 1∼2개씩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작은꽃대는 밑부분에서 서로 합쳐진다. 수술은 6개이고 통부(筒部) 위쪽에 붙으며 수술대에 잔 돌기가 있다. 꽃밥은 길이 4mm로서 수술대의 길이와 거의 같다. 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9∼10월에 검게 익는다.

봄철에 어린 잎과 뿌리줄기를 식용한다. 생약의 위유는 뿌리줄기를 건조시킨 것이며,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번갈·당뇨병·심장쇠약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한국·일본·중국에 분포한다.

잎 뒷면에 유리조각 같은 돌기가 있고 꽃의 길이가 2∼2.5cm인 것을 산둥굴레(var. thunbergii), 잎 뒷면 맥 위에 잔 돌기가 많고 꽃이 1∼4개씩 달리는 것을 큰둥굴레(var. maximowiczii), 잎은 길이 16cm, 나비 5cm 정도이고 꽃이 4개씩 달리는 것을 맥도둥굴레(P. koreanum), 전체가 크고 잎 뒷면에 털이 있으며 꽃이 2∼5개씩 달리는 것을 왕둥굴레(P. robustum)라고 한다.


참조항목:각시둥굴레, 둥굴레주, 맥도둥굴레, 백합과, 왕둥굴레, 외떡잎식물, 용둥굴레, 산둥굴레, 제주둥굴레, 둥굴레차
역참조항목:안갖춘꽃, 큰둥굴레, 무늬둥굴레, 콘발라린, 옥죽주


카테고리의학 > 한의학 > 한방약재


출처: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