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링불 2017. 9. 30. 21:20

2017.9.18

경북 포항







2018.8.10

경북 포항 봉좌마을



남방씨알붐나비[Chinese comma, 南方─ ]

요약:나비목[鱗翅目] 네발나비과의 곤충.

남방씨알붐나비

학명:Polygonia c-aureum

계:동물

문:절지동물

강:곤충강

목:나비목

과:네발나비과

멸종위기등급:평가불가

크기:날개길이 23∼32 mm

분포지역:한국·일본·타이완·중국·인도차이나


남방씨알붐나비는 날개길이가 23∼32 mm이다. 황갈색의 날개에 검은무늬가 흩어져 있는 종류로, 뒷면은 여름형에서는 노랑 바탕에 갈색 물결 모양의 무늬가 있으나 가을형에서는 짙은 갈색이며 날개의 바깥선두리의 요철이 심하다. 가을형은 여름형과 비슷하나 앞날개 바깥선두리가 검지 않으며, 후각 내의 검은무늬와 뒷날개 바깥쪽의 무늬에는 남색의 비늘가루가 있다. 


1년에 2∼4회 발생하며 봄에서 늦가을까지 볼 수 있다. 유충은 환삼덩굴·삼 등을 먹으며 또 잎을 엮어 집을 짓는다. 여름형과 가을형은 일조시간에 의하여 결정된다. 한국·일본·타이완·중국·인도차이나 등지에 분포한다.


참조항목:네발나비과

역참조항목:봄의 곤충


카테고리

동물 >절지동물 >곤충강 >나비목


출처:두산백과


네발나비[Ne-bal-na-bi ]

학명:Polygonia c-aureum, (Linnaeus, 1758)

생물학적 분류

목 : 나비목

상과 : 호랑나비상과

과 : 네발나비과

아과 : 네발나비아과

날개 편 길이:수 · 암 41~55mm

분포지역:Korea (N · C · S), Amur region, Japan, NE.China, Taiwan

북한명:노랑수두나비(No-rang-su-du-na-bi)


한반도에서는 폭넓게 분포하며, 개체수가 매우 많다. 연 2~4회 발생한다. 겨울을 난 어른벌레를 3월부터 볼 수 있으며, 새로 날개돋이 한 개체는 11월까지 낮은 산지와 숲 가장자리, 민가 주변, 수변지역 등 다양한 곳에서 쉽게 볼 수 있다. 1887년 Fixsen이 Vanessa angelica로 처음 기록했으며, 현재의 국명은 이승모(1982: 66)에 의한 것이다. 국명이명으로는 석주명(1947: 5), 조복성과 김창환(1956: 42), 김헌규(1956: 340; 1959: 96), 김헌규와 미승우(1956: 398), 조복성(1965: 182), 조복성 등(1968: 257), 이승모(1971: 12) 등의 ‘남방씨알붐나비’가 있다.


출처:한반도 나비 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