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장구채
2017.4.19
전남 청산도
갯장구채
요약: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두해살이풀.
학명:Melandryum oldhamianum
계:식물
문:속씨식물
강:쌍떡잎식물
목:중심자목
분포지역:한국(제주·전남·전북·경남·경북·황해)
서식장소/자생지:바닷가
크기:높이 50cm
바닷가에서 자란다. 전체에 잔털이 있고, 높이는 약 50cm이다. 줄기는 뭉쳐나며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는 없거나 극히 짧다. 잎 모양은 바소꼴이며 끝이 날카롭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5∼6월에 피고 줄기 끝이나 가지 끝에 약간 돌려나며 가늘고 긴 자루를 가진 분홍색 꽃이 많이 달린다. 꽃받침은 짧은 통 모양으로 끝이 5갈래로 갈라지고, 꽃잎은 5개로 끝이 2갈래로 갈라졌으며 꽃받침보다 길다. 수술은 10개이고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는 삭과로서 달걀 모양이고 종자는 갈색으로 잔 돌기가 있다. 털장구채에 비해 전체에 짧은 털이 많다. 한국 특산종으로 제주도·전라남도·전라북도·경상남도·경상북도·황해도 등지에 분포한다. 흰색 꽃이 피는 것을 흰갯장구채(for. album)라 한다.
참조항목:가는다리장구채, 가는대나물, 가는동자꽃, 가는장구채, 개미자리, 개벼룩, 개별꽃, 갯개미자리, 갯장구채, 갯패랭이꽃, 거품장구채, 구름패랭이꽃, 긴개별꽃, 긴잎별꽃, 끈끈이대나물, 끈끈이장구채, 나도개별꽃, 난쟁이패랭이꽃, 대나물, 덩굴별꽃, 동자꽃, 들개미자리, 말뱅이나물, 벼룩나물, 벼룩이울타리, 벼룩이자리, 별꽃, 북선점나도나물, 북점나도나물, 분홍장구채, 선홍초, 쇠별꽃, 수염패랭이꽃, 술패랭이꽃, 우단동자꽃, 울릉장구채, 장구채, 전추라, 점나도나물, 제비동자꽃, 차일봉개미자리, 참개별꽃, 카네이션, 큰개미자리, 큰개별꽃, 흰갯장구채, 패랭이꽃, 한라장구채, 오랑캐장구채, 안개꽃, 숲개별꽃, 애기별꽃, 장백패랭이꽃, 털점나도나물, 큰점나도나물, 층층장구채, 삼수개미자리, 실별꽃, 섬점나도나물, 애기장구채, 큰별꽃, 털장구채
카테고리
식물 >속씨식물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출처: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