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래
2017.4.10
경북 경주
달래[ Wild rocambol / Wild chive / Wild garlic ]
요약: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Allium monanthum
계:식물
문:속씨식물
강:외떡잎식물
목:백합목
분포지역:한국(충남·강원·경기·황해·함남)·일본·중국 동북부·우수리강(江) 유역
서식장소/자생지:산과 들
크기:높이 5∼12cm, 잎 길이 10∼20cm, 폭 3∼8mm
소산(小蒜), 야산(野蒜), 산산(山蒜) 등이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는 5∼12cm이고 여러 개가 뭉쳐난다. 비늘줄기는 넓은 달걀 모양이고 길이가 6∼10mm이며 겉 비늘이 두껍고 밑에는 수염뿌리가 있다. 잎은 1∼2개이며 길이가 10∼20cm, 폭이 3∼8mm이고 줄 모양 또는 넓은 줄 모양이며 9∼13개의 맥이 있고 밑 부분이 잎집을 이룬다.
꽃은 4월에 흰색 또는 붉은빛이 도는 흰색으로 피고 잎 사이에서 나온 1개의 꽃줄기 끝에 1∼2개가 달린다. 포는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며 달걀 모양이고 길이가 6∼7mm이며 갈라지지 않는다. 꽃잎은 6개이고 긴 타원 모양 또는 좁은 달걀 모양이며 수술보다 길거나 같고 끝이 둔하다. 수술은 6개이고 밑 부분이 넓으며 꽃밥은 보라색이다. 암술은 1개이고 암술머리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로 작고 둥글다. 잎과 알뿌리 날것을 무침으로 먹거나 부침 재료로도 이용한다. 마늘의 매운맛 성분인 알리신이 들어 있어 맛이 맵다. 한방에서 달래의 비늘줄기를 소산(小蒜)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여름철 토사곽란과 복통을 치료하고, 종기와 벌레에 물렸을 때 쓰며, 협심통에 식초를 넣고 끓여서 복용한다. 한국(충남·강원·경기·황해·함남)·일본·중국 동북부·우수리강(江) 유역에 분포한다.
참조항목:백합과, 생약, 외떡잎식물, 속씨식물
역참조항목:봄, 산달래, 봄의 미각, 달래주, 달래김치, 달래장아찌, 훈채
카테고리
생활 > 식생활 > 각종식품 > 채소류
식물 > 속씨식물 > 외떡잎식물 > 백합목
의학 > 한의학 > 한방약재
출처:두산백과
식물명 : 달래 (학명 : Allium monanthum Maxim )분류군 : 백합과특 징:백합목 백합과의 외떡잎식물. 높이 5∼12㎝. 여러해살이풀로서 비늘줄기는 둥근 타원형이며 지름 1㎝ 내외이고 아래에 수염뿌리가 난다. 잎은 길이 10∼20㎝, 나비 3∼8㎜로서 2∼3개가 밑에서 나며 반원기둥모양 바늘꼴이고 잎밑이 점점 뾰족해진다. 끝은 날카롭고 연질이며 여름철에 시들어 전혀 흔적도 없다. 꽃은 잎 사이에서 잎보다 짧은 한 줄기의 꽃줄기가 나와 줄기 끝에 1∼2송이가 달리며 백색에 엷은 자색을 띠고 4월에 핀다. 꽃자루는 짧거나 또는 없으며 아래에 막질로 된 1개의 꽃턱잎이 있다. 꽃잎은 6조각이고 타원형이며 6개의 수술은 꽃잎조각에 붙고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암술머리는 3갈래로 갈라진다. 삭과는 작고 둥근 모양이다. 파·마늘 같은 냄새가 있으며 매운맛이 있고 양념 또는 나물로 쓴다.
※ 달래 - 산달래와의 가장 큰 차이는 잎과 꽃이다. 달래의 잎은 3장을 넘지 않으며, 마치 작은 산자고 잎처럼 생겼으며, 꽃대에 달리는 꽃도 3개를 넘지 않는다고 한다. 달래의 알뿌리는 매우 작아서 겨우 녹두알 크기만 하다. 왜 크게 되지 않는가 살펴보았더니, 뿌리가 일정한 정도로 자라면 저절로 분구하는 특징이 있었다.
[출처] [달래,산달래] 그리고 달롱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