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9.27
밀양 천황산
앉은좁쌀풀
학명:Euphrasia maximowiczii Wettst.
생물학적 분류
문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 :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목 : 통화식물목(Tubiflorae)
과 : 현삼과(Scrophulariaceae)
속 : 좁쌀풀속(Euphrasia)
개화기:6월~8월
꽃색:자주색
형태:반기생 한해살이풀
크기:높이 20~30cm
분포: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특징
잎
잎은 마주나기하고 중앙부의 잎은 달걀모양 또는 난상 원형이며 둔두 원저이고 길이 6-12mm, 폭 5-10mm로서 잎표면에는 털이 없으며 뒷면 맥 위에 잔털이 다소 있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꽃이 달린 부분의 잎은 보다 작다.
꽃
꽃은 6-8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으로서 줄기 윗부분 잎겨드랑이에 이삭꽃차례로 달리고 꽃받침은 길이 3.5mm이며 4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상 삼각형이며 끝이 가시처럼 뾰족하다. 꽃부리는 길이 4-6mm이고 순형으로서 열편 끝이 오목하며 상순은 곧게 서고 하순은 중앙부에 황색 반점이 있으며 끝이 3개로 갈라진다. 4개의 수술중 2개가 길다.
열매
삭과는 길이 5mm이고 긴 타원형이며 잔털이 있고 8-10월에 익는다.
줄기
높이 20-30cm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잔털이 있고 줄기는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자란다.
생육환경
심산지역의 건조한 풀밭에서 자란다.
이용방안
• 앉은좁쌀풀/산좁쌀풀의 전초(全草)를 芒小米草(망소미초)라 하며 약용한다.
① 7-8월에 채취하여 적당한 길이로 잘라서 햇볕에 말린다.
② 약효: 淸熱(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다. 咽喉腫痛(인후종통), 肺炎咳嗽(폐렴해수), 口瘡癰疾(구창옹질)을 치료한다.
③ 용법/용량: 6-1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출처: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제공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댓글